본문 바로가기

2015개정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교수학습&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 (3) 수와 연산(고등학교 1학년) 집합의 연산법칙은 벤 다이어그램으로 확인하는 정도로 간단히 다룬다. '모든', '어떤'을 포함하고 있는 명제는 구체적인 상황을 이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명제와 조건의 뜻은 수학적인 문장을 이해하는 수준에서 간단히 다룬다. 명제의 증명은 간단한 것만 다룬다.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이해하게 한다. 증명을 지도할 때는 직관적인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형식화하게 한다.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과 귀류법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이해하게 한다. 수학의 여러 내용 영역과 연계하여 집합과 명제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인식하게 한다. '원소나열법', '조건제시법', '유한집합', '무한집합', '서로 같다' 용어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집합의 개념이나 집합의 포함관계는 개.. 더보기
학습부담경감을 위한 내용상의 변화 : 2015 개정 수학과 중학교 교육과정 기존(2009개정) 현재(2015개정) 곱셈공식(중2) 인수분해(중3) 중3으로 통합 연립일차부등식(중2) 고등학교로 상향이동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중3) 고등학교로 상향이동 성취기준에서 방정식/부등식/함수의 이해와 활용을 분리하여 서술 ex) ~을 이해한다. / ~을 활용할 수 있다. 성취기준에서 방정식/부등식/함수의 이해와 활용을 통합하여 서술 ex) ~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중1 삭제 사항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활용 삭제 도수분포표에서 자료의 평균 삭제 원주각 활용 삭제 더보기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교수학습&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 문자와 식(중학교) 다양한 상황에서 문자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인식하게 한다. 문자와 수, 문자와 일상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게 하고, 문자의 특징을 이해하게 한다. 지수법칙은 지수가 자연수인 범위에서 단항식의 곱셈과 나눗셈을 하는 데 필요한 정도로 다룬다. 다항식의 나눗셈에서는 다항식을 단항식으로 나누어 그 몫이 다항식이 되는 경우만 다룬다. 방정식과 부등식은 다양한 상황을 통해 도입하여 그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풀어보면서 더 나은 방법을 찾고 설명해 보게 한다. 방정식과 부등식을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풀고 더 나은 방법을 찾고 설명하게 한다. 방정식과 부등식의 해가 문제 상황에 적합한지 확인하게 한다. 수에 대한 사칙연산과 소인수분해가 다항식으로 확장될 수 .. 더보기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교수학습&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 수와 연산(중학교)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는 자연수의 소인수분해를 이용하는 범위에서 다룬다. 다양한 상황을 이용하여 음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태도 및 실천) 정수의 사칙계산의 원리는 여러 가지 모델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할 수 있다.(추론) 수의 소수 표현과 분수 표현의 장단점을 생각해 보게 하여, 각각의 표현이 가지는 유용성을 인식하게 한다.(태도 및 실천) 유한소수를 순환소수로 나타내는 것은 다루지 않는다. 순환소수를 분수로 고치는 것은 순환소수가 유리수임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다룬다. 제곱근과 무리수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 등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무리수의 존재를 이해하게 할 수 있다.(추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무리수의 예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