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 집합의 연산법칙은 벤 다이어그램으로 확인하는 정도로 간단히 다룬다.
- '모든', '어떤'을 포함하고 있는 명제는 구체적인 상황을 이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 명제와 조건의 뜻은 수학적인 문장을 이해하는 수준에서 간단히 다룬다.
- 명제의 증명은 간단한 것만 다룬다.
-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이해하게 한다.
- 증명을 지도할 때는 직관적인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형식화하게 한다.
-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과 귀류법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이해하게 한다.
- 수학의 여러 내용 영역과 연계하여 집합과 명제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인식하게 한다.
- '원소나열법', '조건제시법', '유한집합', '무한집합', '서로 같다' 용어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 집합의 개념이나 집합의 포함관계는 개념을 이해하는 수준에서 간단히 평가한다.
- 증명 능력을 평가할 때에는 과정 중심 평가를 할 수 있다.
'수학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이론정리 - 교재연구 : 함수 (0) | 2019.07.03 |
---|---|
핵심이론정리 - 교재연구 : 문자와 식(대수) (0) | 2019.06.28 |
폴리아의 문제해결 사고전략 (0) | 2019.06.27 |
스켐프(Skemp)의 지능에 대한 분류 (0) | 2019.06.26 |
딘즈의 수학 개념 학습 6단계와 도형 개념 학습으로의 적용 (0) | 2019.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