딘즈 썸네일형 리스트형 딘즈의 수학 개념 학습 6단계와 도형 개념 학습으로의 적용 (1) 자유놀이 -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조작이나 실험, 활동 등 많은 구체적인 자료를 자유롭게 대하는 단계 -예) 개수, 모양, 크기 등이 여러가지로 주어진 구체물로 놀이하는 경험을 한다. (2) 게임 - 자유롭게 놀이를 하는 가운데 점차 어떤 규칙성이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단계 -예) 여러 구체물 중에서 어떤 도형은 각진 부분이 없다거나 모양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3) 공통성 탐구 - 놀이의 소재가 되는 여러 구체물 속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특정 개념의 수학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시작하며 게임단계에서 감지한 규칙성이 보다 명확해 지는 단계 -예) 네모 모양은 꺾어지는 부분이 네 군데이고, 원 모양은 그런 부분이 없다는 것을 명확히 인식한다. (4) 표현 - 아동이 추상화 과정을 통해 .. 더보기 브루소의 교수학적 계약(didactical contract)과 딘즈효과(Dines Effect) - 교수학적 계약(didactical contract) 교사와 학생은 각자 수업에서 자신이 수행해야 하는 행동이 무엇인지 알고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하며, 서로에게 해야 할 수학적 의무가 무엇인지 파악하여야 한다. 브루소는 교수학적 상황에 존재하는 이러한 교사-학생의 상호보완적 관계들을 '교수학적 계약'이라 하였다. 즉, 교사는 가르치고 학생은 배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학적 계약들은 '사고 실험'을 통해서 교사에 의해 예측되고 만들어 질 수 있다. - 딘즈 효과(Dines Effect) 수업 상황에서 교사에 의해 교수학적 계약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딘즈가 강조한 놀이는 그 자체가 학습해야 할 수학적 구조를 담고 있기 때문에, 놀이를 통한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능동적 활동을 통해서 학습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