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유놀이
-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조작이나 실험, 활동 등 많은 구체적인 자료를 자유롭게 대하는 단계
-예) 개수, 모양, 크기 등이 여러가지로 주어진 구체물로 놀이하는 경험을 한다.
(2) 게임
- 자유롭게 놀이를 하는 가운데 점차 어떤 규칙성이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단계
-예) 여러 구체물 중에서 어떤 도형은 각진 부분이 없다거나 모양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3) 공통성 탐구
- 놀이의 소재가 되는 여러 구체물 속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특정 개념의 수학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시작하며 게임단계에서 감지한 규칙성이 보다 명확해 지는 단계
-예) 네모 모양은 꺾어지는 부분이 네 군데이고, 원 모양은 그런 부분이 없다는 것을 명확히 인식한다.
(4) 표현
- 아동이 추상화 과정을 통해 파악한 개념의 공통성을 자신만의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단계
-예) 네모 모양이나 세모 모양, 둥근 모양 등에 대해 자신만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5) 기호화
- 표현단계에서 나타낸 개념을 수학적인 기호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단계
-예) 네모, 세모, 동그라미, 사각형, 삼각형, 원 등의 표현을 이용하도록 지도한다.
(6) 형식화
- 아동이 추상한 개념의 수학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이 개념이 갖고 있는 여러 성질을 체계화하는 단계
-예) 삼각형과 사각형의 관계, 삼각형의 성질, 사각형의 성질 등을 파악하게 된다.
'수학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아의 문제해결 사고전략 (0) | 2019.06.27 |
---|---|
스켐프(Skemp)의 지능에 대한 분류 (0) | 2019.06.26 |
컴퓨터를 이용한 수학 교수·학습 양식 (0) | 2019.06.26 |
브루소의 교수학적 계약(didactical contract)과 딘즈효과(Dines Effect) (0) | 2019.06.26 |
분석법과 종합법 : 정의와 종류 (0) | 2019.06.19 |